Jetson Nano 세팅하기
23.06.30 집필
서론 및 준비
Jetson Nano는 MPU이고, booting 및 데이터 저장에 microSD를 필요로 하므로, 저장공간이 넉넉한 micro SD하나를 집어들자. (MPU가 뭔지 모르겠다면, 이 블로그의 다른글 ( https://99kh.tistory.com/3 )를 읽어보자.
마이크로프로세서와 마이크로컨트롤러의 차이
마이크로프로세서 (Microprocesser : 이하 MPU)는 중앙 처리장치를 의미하며, 명령어를 처리하기 위한 장치다. 컴퓨터 내에서 program을 수행하는 hardware unit이며, Central Processing Unit (CPU)도 프로세서이다.
99kh.tistory.com
용량의 경우, 64GB이상을 권장한다.
그럼 이제 두개를 다운받아야한다.
하나는, Jetson Nano의 이미지파일.
하나는, microSD를 포멧하는 프로그램이다.
첫 째로, Jetson Nano 이미지파일을 다운받으러 가보자.
https://developer.nvidia.com/embedded/downloads
Jetson Download Center
Get downloadable documentation, software, and other resources for the NVIDIA Jetson ecosystem.
developer.nvidia.com
젯슨나노 다운로드 공식 페이지에서 이미지파일을 받는다. 미래의 나, 혹은 방문자들이 헷갈릴까봐 사진도 첨부해본다.
이렇게 생긴 사이트가 등장할 것이고, Jetson Nano Developer kit image를 찾으면 된
이런거다.
xavior와 헷갈리지 않도록 주의하자. 부팅이 안되는 경우도 있고, 부팅은 됐는데 일부 프로그램이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을 수 있다.
다운로드가 오래 걸리니, 그동안 SD카드를 만지작 거려보자
사실 windows에 기본으로 있는 포멧 기능을 사용해도 된다. 필자의 경우에는 아직까진 문제가 있었던 적은 없었다.
인식된 SDcard에 우클릭 해보면, 포멧 옵션이 존재한다.
그냥 시작 눌러서 포멧시키면 된다.
일단 야매는 알려줬으니, 정석도 알려주겠다.
sd card formatter 같은 프로그램을 사용하는 것이다.
다운로드 링크는 https://www.sdcardformatter.com/
SD Card Formatter - Download SD Memory Card formatter 2023
Download the free SD Card Formatter upgraded tool to format your SD memory card on Mac and Windows. Check our guide to format the SD card.
www.sdcardformatter.com
공대스러운 아이콘을 클릭하여 들어오면, 굉장히 심플한 UI가 보일 것이다.
select card로 sd카드를 선택해서 Format하면 된다.
이런 창이 떴다면 성공이다. 필자의 경우에는 128GB microsd를 사용했다.
이제, 다운받은 이미지파일을 빈깡통만 남은 SD카드에 집어넣을 것이다.
그냥 복사해다 붙여넣는 것이 아닌, imager를 사용해야한다. 여기에도 다양한 프로그램이 존재하나, 필자가 사용했던 초간단 win32 disk imager를 소개하겠다.
다운로드 링크는 https://win32diskimager.org/
Win32 Disk Imager - Download [Official Site]
Download Win32 Disk Imager a Fast, Secure & Reliable tool to Write Windows 10 or Windows 11 ISO Image to the Removable drive eg. Pendrive.
win32diskimager.org
실행해보면 이또한 굉장히 심플한 UI가 등장한다.
이미지파일을 지정하고, 대상 sd카드를 선택한 후 Write를 누르면 진행된다.
100%에 도달하게되면 컴퓨터가 디스크를 삽입하라는 발작을 시작하게 될텐데, 매우 정상이며 성공한 것이니, 놀라지말고 조금 기다렸다가 전부 닫아주면 된다. 이런현상이 왜 생기냐 하면,
이미지파일이 잘 쓰여졌다면, 파티션이 여러개로 나눠지게 된다. 이때문에 컴퓨터에서는 굉장히 많은 이동식 디스크가 감지가 됐지만 읽을 수가 없는 상황이 됐기 때문에 발생한다.
Boot
이제 진짜를 만지작거려보자
여기 가운데, 보드와 방열판 사이에 SD카드를 끼우는 공간이 존재한다. 여기에 SDcard를 잘 끼운 후 전원을 인가해보자.
이렇게 되면서 켜진다. 필자의 경우, 처음에 실수로 xavoir버전을 설치했었는데, 무한 재부팅에 걸려 저 화면만 두시간을 지켜봤었다.
4A 사용하기
젯슨나노를 전력부족 없이 잘 사용하기 위해서는, 5pin (5v 2A)보단 DC잭으로 4A를 인가해 주는 편이 잘 사용하기에 좋다.
그땐, 여기 있는 핀을 쇼트시켜야 하는데, 점퍼핀을 끼우면 된다. 인터넷으로 쉽게 구할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pin 1개에만 끼워져서 오기에, 따로 구할 필요가 없을것이다.
처음에 부팅할 때에는, 화면에 라인이 계속 써지며 마치 설치가 되는듯한 모습을 보일 것인데, 이후의 가이드는 다음 글에서 이어하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