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SW/Jetson nano & Raspberry Pi

라즈베리파이4 model B (Raspberrypi4 model B)

 

23.01.22 첫 집필 ( 미완성 ) 

-------------------------

 

라즈베리파이.

영국의 라즈베리파이 재단에서 만든 초소형 교육용 컴퓨터다.

개발도상국에서 기초 컴퓨터과학을 교육하고 발전시기키 위해 개발되었다.

리눅스 커널 기반 운영체제인 Raspbian이라는 데비안 계열 운영체제가 자체 개발되어, 가장 권장되는 시스템이다.

 

이러한 타입의 컴퓨터를 Single Board Computer(SBC)라고 하며, 마이크로프로세서 이다.

 

 

 

아래와 같이 생겼으며, 각 파트는 아래와 같다.

 

이미지 출처 : 위키피디아 (사진클릭으로 이동)

 

마이크로프로세서에 대한 내용은 해당 링크에 어느정도 소개되어 있다.

 

https://99kh.tistory.com/3

 

마이크로프로세서와 마이크로컨트롤러의 차이

마이크로프로세서 (Microprocesser : 이하 MPU)는 중앙 처리장치를 의미하며, 명령어를 처리하기 위한 장치다. 컴퓨터 내에서 program을 수행하는 hardware unit이며, Central Processing Unit (CPU)도 프로세서이다.

99kh.tistory.com

 

해당 모델의 스펙은 아래와 같다.

 

 ○  Processor
→ Broadcom BCM2711, quad-core Cortex-A-72 ( ARMv8)

→ 64-bit SoC @ 1.5GHz

 

○  Memory
→ 1,2,4 GB LPDDR4

 

○  Connectivity

 2.4 GHz and 5.0 GHz IEEE 802.11b/g/n/ac wireless

 LAN, Bluetooth 5.0, BLE

 Gigabit Ethernet

 2 × USB 3.0 ports

 2 × USB 2.0 ports.

 

○  GPIO

→ Standard 40-pin GPIO header (fully backwards-compatible with previous boards)

 

○  Video & sound:

→ 2 × micro HDMI ports (up to 4Kp60 supported)

→ 2-lane MIPI DSI display port

→ 2-lane MIPI CSI camera port

→ 4-pole stereo audio and composite video port

 

○  Multimedia

→ H.265 (4Kp60 decode);

→ H.264 (1080p60 decode, 1080p30 encode);

→ OpenGL ES, 3.0 graphics

 

○  SD card support

→ Micro SD card slot for loading operating system and data storage

 

○  Input power

→  5V DC via USB-C connector (minimum 3A1 ) 5V DC via GPIO header (minimum 3A1 ) Power over Ethernet (PoE)–enabled (requires separate PoE HAT)

 

○  Environment

→ Operating temperature 0–50ºC

 

○  Compliance

→ For a full list of local and regional product approvals, please visit

→ https://www.raspberrypi.org/documentation/hardware/raspberrypi/conformity.md

 

○  Production lifetime

→ The Raspberry Pi 4 Model B will remain in production until at least January 2026

 

 

라즈베리 파이는 초소형 싱글보드컴퓨터로, 공대 졸업과제로 종종 보이는 것을 볼 수있다.

라즈베리파이 사용은 아래와 같다.

 

 

라즈베리파이 사용은 아래와 같은 방법을 통해 사용해주면 된다.

 

(링크)

'SW > Jetson nano & Raspberry Pi' 카테고리의 다른 글